“우리는 유전자의 생존 기계일 뿐인가?”

『이기적 유전자』는
진화론에 관한 수많은 책들 중에서도
가장 혁명적인 시선을 제시한 책이다.
리처드 도킨스는 이 책에서
‘생명’을 유기체 중심이 아닌
‘유전자’ 중심으로 재정의한다.
우리가 살아가는 이유,
우리가 남기는 유산,
우리가 사랑하고 연대하는 이유조차
모두 유전자의 전략일 수 있다는 도킨스의 말은
처음엔 낯설고도 당혹스럽다.
유전자, 이기적인 존재인가?
도킨스는 말한다.
“이기적 유전자가 만든 이타적인 인간.”
모순처럼 보이는 이 말은
이 책의 핵심을 정확히 드러낸다.
유전자는 자신의 복제를 위해
때로는 협력하고, 때로는 희생하는 전략을 선택한다.
우리의 행동 속에 숨어 있는
수많은 본능과 습관들이
어쩌면 ‘유전자 복제’라는 목적에서
형성된 것이라면?
이 책은 그 통찰을
단순한 주장으로 던지지 않고
정교한 논증으로 하나씩 풀어간다.
진화론이 던지는 불편한 질문
『이기적 유전자』는
진화론이 단순히 ‘적자생존’의 구호가 아니라
삶의 복잡하고도 아름다운 전략임을 보여준다.
우리가 믿고 있던
‘희생’과 ‘이타성’의 의미조차
새롭게 바라보게 만든다.
도킨스의 설명을 따라가다 보면
인간의 본능과 문화, 심지어 종교까지
진화의 언어로 읽히기 시작한다.
멍멍도서관의 한 줄 기록
생명은 우연이 아니다.
그러나 필연도 아니다.
그저 유전자가 만들어낸
끝없는 ‘복제 게임’일지도 모른다.
『이기적 유전자』는
쉽지 않지만,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다.
우리 존재를 바라보는 방식 자체를
뒤흔들 수 있는 책이기 때문이다.
과학, 철학, 인간에 대한
조금 더 깊은 질문을 품고 싶은 독자에게
진심으로 추천한다.
Leave a Reply